[ 기본 설정 ]
기본 도메인(*)
☞ 웹메일 접속시 존재하지 않는 도메인은 기본 도메인으로 인식됩니다.
HELO 도메인(*) >
☞ 홈페이지를 운영중인 웹서버와 메일서버의 IP가 동일한 경우에는 '기본도메인'과 동일하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메일서버의 IP가 다를 경우 형태처럼 실제 서버 IP와 일치하는 2차 도메인을 입력하셔야 합니다.
※ HELO 도메인을 IP로 입력하시거나, DNS에 등록되지 않은 도메인을 입력할 경우 일부 메일서버에서 스팸발송서버로 간주되어 차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메일서버 관리자 주소(*) >
☞ 메일서버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에 관련된 메일을 받을 주소입니다.
※ 해당 주소는 상황에 따라 에러 메일이 많이 올 수 있으므로, 실제 메일을 주고 받으실 계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관리 목적으로만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메일서버 내부에 존재하는 계정이 아닌, 외부 메일서버의 주소를 입력할 경우 외부 메일서버에 부담을 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DNS 직접 지정
☞ DNS는 메일서버에서 도메인을 IP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며, 미입력시 서버에 설정된 기본 DNS를 사용하게 됩니다. 만약 메일 발송시 정상적인 도메인인데 "Invalid server address"에러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 메일서버에서 DNS 에 직접 연결하도록 지정할 수 있습니다.
    주요 ISP의 DNS - 164.124.101.2, 168.126.63.2, 203.248.252.2
회원ID 최소길이(*) >자 이상
가입제한 회원ID
☞ 입력된 ID는 회원가입시 사용할 수 없으며 관리자메뉴에서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여러개를 입력할때는 콤마(,)로 구분하시면 됩니다.
메일포워딩 제한 도메인
☞ 메일 포워딩은 스팸을 포함한 모든 메일을 전달하기 때문에 다음, 네이버 등의 스팸IP 차단정책을 펼치고 있는 곳의 주소를 지정하면 메일서버가 스팸IP로 등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자 주요메일서비스로의 포워딩을 일괄 제한하는 것 입니다.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기본 등록된 도메인들은 삭제하지 않으셔야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 보안 설정 ]
웹메일 로그인 시도 제한(*)
특정 IP에서 10분동안 허용 횟수 회   ☞ 기본 20회
특정 IP에서 1시간동안 허용 횟수 회   ☞ 기본 50회
특정 IP에서 하루동안 허용 횟수 회   ☞ 기본 200회
로그인 시도를 제한하지 않는 IP
공유기 환경 등 모든 사용자들의 공인 IP가 동일하여 로그인 시도 제한을 할 수 없는 IP를 등록합니다.
여러 IP를 입력할 경우 콤마(,)로 구분해주시면 됩니다.
특정 아이디10분동안 허용 횟수 회   ☞ 기본 10회
특정 아이디1시간동안 허용 횟수 회   ☞ 기본 30회
특정 아이디하루동안 허용 횟수 회   ☞ 기본 100회
☞ 허용 횟수의 기준 시간은 자정(0시)를 기준으로 초기화됩니다.
    즉 '하루동안 허용 횟수'를 초과한 사용자는 다음날 0시 0분부터 다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비밀번호 안전 레벨(*)
checked>낮음 (비권장) - 4자 이상 20자 이하
비밀번호가 쉽게 설정될 경우 스팸 발송 계정으로 도용당할 수 있습니다.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 등으로 인해 불가피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checked>보통 - 6자 이상 20자 이하, 영문+(숫자 or 특수문자) 조합
checked>높음 (권장) - 8자 이상 20자 이하, 영문소문자+(영문대문자 or 특수문자) 조합
'보통'레벨보다 '영문대문자'나 '특수문자'가 1개 이상 들어가야 하므로 보다 안전합니다.
[ 용량 설정 ]
메일송수신 최대용량(*) >MB
기본 50MB로 설정을 권장해드리며,'웹메일 일반첨부 최대용량'을 늘릴 경우에만 같이 늘려주십시오.
☞ 메일이 지나치게 클 경우 메일서버에 무리를 주게되므로 수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웹메일 일반첨부 최대용량(*) >MB
기본 10MB이며 대부분 다른 메일서버들도 10MB~25MB 정도까지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 업로드 컴포넌트(ActiveX)에서 '일반첨부 최대용량'을 초과한 파일은 '대용량첨부'로 자동 전환됩니다.
☞ 이 값을 변경하게 되면 [메일송수신 최대용량]은 이 값보다 크게 잡아야 합니다.
    ex) 웹메일 일반첨부 최대용량 : 25MB -> 메일송수신 최대용량 : 50MB
☞ 일부 서버에서는 아래 서버설정(php.ini)에 제한을 받을 수 있으니 [웹메일 일반첨부 최대용량]보다 약 6배 크게 잡아야 합니다.
  memory_limit = ; Maximum amount of memory a script may consume (8MB) ※ 최대용량을 늘리더라도 상대방 메일서버에서 '메일송수신 최대용량'이 대부분 10MB~25MB 정도까지만 허용하고 있으므로, 외부 메일서버로는 발송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5MB 이상으로 늘리는 것은 특수한 상황(내부끼리 주고받는 용도 등)이 아니라면 권장하지 않습니다.
웹메일 대용량첨부 최대용량(*) >MB
☞ 대용량첨부는 메일내에 파일을 첨부하지 않고, 다운로드 링크만 보내게 됩니다. 따라서 '메일송수신 최대용량'과 무관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 [도메인관리], [전체회원관리]에서 각각 대용량첨부 용량을 할당해주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대용량첨부 최대 다운횟수(*) >회
☞ 지정한 횟수이상 다운로드 받았을 때 파일은 서버내에서 자동 삭제됩니다.
※ 다운횟수는 다운로드 성공여부와 관계없이 계산됩니다.
대용량첨부 최대 다운기간(*) >일
☞ 지정한 기간이 지났을 때 파일은 서버내에서 자동 삭제됩니다.
게시판 첨부 최대용량(*) >MB
기본 10MB이며 서버사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시면 됩니다. 파일 하나를 첨부할때의 제한용량이며 [도메인관리]에서 도메인별로 최대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최대용량 변경방법

- 꼭 읽어보세요 -
첨부 최대용량(업로드 가능한 용량)을 변경하려면, 서버에서 PHP 설정(php.ini)을 확인해야 합니다.
    적용 대상 - 웹메일 일반첨부/웹메일 대용량첨부/게시판 첨부/편지함 복구/웹하드 첨부 최대용량

  PHP 설정파일 경로)
  현재 PHP 설정 상태)
      post_max_size =         ; POST 데이타 최대크기(업로드 파일크기 + 메일 본문등의 텍스트크기)
      upload_max_filesize =         ; 업로드가능한 최대 파일크기
      max_input_time =         ; 업로드가능한 최대 시간(초단위, -1은 무제한)

php.ini 수정시 유의사항 (중요!!!)
    1. php.ini 파일의 가장 마지막에 추가된 엔메일 관련 설정에서 변경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php.ini 내에 같은 설정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 파일 마지막에 추가된 설정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2. post_max_size 값은 서버 한계값인 2047M 이하여야 합니다. 초과시 업로드가 안됩니다.
    3. max_input_time 값은 대용량첨부 용량이 클 경우 3600초로 권장하고, 에러가 생길 경우 무제한(-1)으로 설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예제) '첨부 최대용량'중 가장 큰 값인 2047MB (약 2GB)로 지정된 경우 다음처럼 설정을 변경후 아파치 웹서버를 재시작하면 됩니다.
      post_max_size = 2047M         ; Maximum size of POST data that PHP will accept.
      upload_max_filesize = 2047M        ; Maximum allowed size for uploaded files
      max_input_time = 3600
[ 편지함 백업/복구 설정 ]
편지함 백업/복구 사용여부
☞ 사용자들이 직접 편지함내의 메일들을 백업받고, 복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서버에서 메일파일들의 압축 및 압축해제가 이루어지므로 서버부하가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백업/복구시 사용되는 압축 프로그램 확인)
    [에러]서버에서 압축프로그램을 찾을 수 없습니다. =>
    [정상]
    [에러]서버에서 압축프로그램을 찾을 수 없습니다. =>
        서버 OS의 배포판에서 제공하는 zip 패키지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정상]
    [에러]서버에서 압축프로그램을 찾을 수 없습니다. =>
        서버 OS의 배포판에서 제공하는 unzip 패키지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정상]
편지함 복구 최대용량(*) >MB
☞ [편지함관리]에서 [백업]한 메일을 [복구]할 때 복구파일의 최대 용량을 제한합니다. 지나치게 큰 파일을 한번에 올릴 경우 서버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 웹하드 설정 ]
0) { ?> 웹하드 데모 사용여부 웹하드 사용여부
☞ 개인웹하드와 도메인별 공용웹하드를 지원하며, 웹하드에 올려진 파일을 메일발송시 첨부할 수 있습니다.
0) { ?>
☞ 현재 웹하드를 정식으로 구입하지 않으신 상태입니다. 따라서 데모버젼은 아래와 같은 기능상 제약이 있습니다.
      1. 개인/공용웹하드에서 전체파일수는 각각 로 제한됨. (초과시 업로드불가)
      2. 공용웹하드는 도메인마다 최대 까지 생성가능. (초과시 보여지지않음)
☞ 자세한 내용은 개발사인 패스코리아넷으로 문의주십시오.
웹하드 첨부 최대용량(*) >MB
☞ 웹하드에서 한번에 업로드 가능한 용량이며 도메인별, 회원별 용량제한이 따로 됩니다.
※ [도메인관리], [전체회원관리]에서 각각 웹하드 용량을 할당해주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 안티스팸 설정 ]
스팸 차단 레벨(*)
checked>안전형 - 스팸일 가능성이 높은 메일들은 [스팸편지함]으로 이동됩니다.
[장점] 사용자가 모든 스팸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요한 메일을 받지 못하게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단점] 스팸메일 수신에 따른 서버 부하를 고려해야 하고, 사용자의 스팸확인이 늘어남에 따른 불편이 있습니다.
checked>기본형 - "안전형"에서 정확도가 높은 국내 RBL(한국정보보호진흥원 제공)에 등록되었거나, 위조메일인 경우 받지 않고 바로 반송하는 기능이 추가됩니다.
[장점] 서버에 따라 많은 양의 스팸이 감소하여 서버 부하 감소 및 사용자의 스팸확인에 따른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단점] 정상적인 메일서버가 RBL에 잘못 등록된 경우 해당 메일서버 관리자가 RBL 제공자측에 해지신청을 하기전까지는 해당 메일서버로부터 메일을 받지 못할 수 도 있습니다. 참고로 국내 대형 포털에서 제공하는 메일서비스에도 RBL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checked>파워형 - "기본형"에서 해외 RBL(spamhaus, spamcop, sorbs 등)에 등록되었을때 받지 않고 바로 반송하는 기능이 추가됩니다.
[장점] "기본형"보다 더 많은 스팸을 차단할 수 있고, 특히 해외에서 발송되는 스팸에 대한 차단율이 높아집니다.
[단점] 해외 RBL은 국내 RBL에 비해 국내의 정상적인 메일서버가 RBL에 잘못 등록되는 사례가 조금 더 많은 편입니다. 정상적인 메일서버가 RBL에 잘못 등록된 경우 해당 메일서버 관리자가 RBL 제공자측에 해지신청을 하기전까지는 해당 메일서버로부터 메일을 받지 못할 수 도 있습니다.
해외 RBL 목록
☞ 기본설정은 sbl-xbl.spamhaus.org, bl.spamcop.net, spam.dnsbl.sorbs.net 이며 고급사용자의 경우 임의로 추가, 삭제하시면 됩니다.
용어 안내 RBL(Real-time Black List) - 스팸관련단체에서 스팸메일을 발송하는 메일서버의 IP를 수집해서 공개하는 서비스입니다. 여기에 등록된 메일서버에서 보낸 메일들은 '스팸 차단 레벨'에 따라 받지않고 반송하거나 스팸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게 됩니다.
보낸주소 위조메일(*)
보낸주소를 메일서버 내부에 존재하는 주소인것처럼 위조하여 보내는 메일을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보낸주소의 '도메인'이 [도메인관리]에 존재하고, 아래 정상적인 경우가 아닐 때 '위조메일'로 간주합니다.
    1. 웹메일이나 메일서버 내부 IP(127.0.0.1)에서 발송된 경우.
    2. 아웃룩 등의 메일클라이언트에서 SMTP/POP3BEFORE 인증을 거친 경우.
    3. 발송 IP가 [White IP 관리]에 등록된 경우.
※ 웹서버와 메일서버가 분리된 상황에서 웹서버에서 오는 메일의 위조메일 검사를 하지 않으려면, 미리 웹서버 IP를 [White IP 관리]에 등록해두셔야 합니다.
※ '위조메일'로 간주되어 '[스팸편지함]으로 배달'한 경우에는 [환경설정 - 메일자동분류], [환경설정 - 수신허용]기능은 동작하지 않고 무시됩니다.
[ 안티바이러스 설정 ]
바이러스 차단여부
☞ 메일내에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메일서버단에서 백신을 통해 검사후 자동차단하는 기능입니다.
☞ [바이러스 차단]기능은 별도의 옵션팩(유료)이 설치된 상태에서만 동작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개발사인 패스코리아넷으로 문의주십시오.
바이러스 차단시
리턴메일 발송여부

☞ 바이러스 메일의 경우 회신주소를 속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 메일이 차단될때 전혀 엉뚱한 사용자에게 리턴메일을 발송해 혼란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가급적 리턴메일을 발송하지 않는 것이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메일 용량 부족시 알림 설정 ]
메일 용량 부족시 알림 여부
☞ 메일 용량이 부족하거나, 초과된 경우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림 메일이 발송되는 기능입니다.
메일 용량 부족시 알림 기준 % 이상 사용시.   ☞ 기본 90%
☞ 메일 용량이 90% 이상 사용했을 때, '메일 용량 부족 안내 메일'이 자동 발송됩니다. 중복 방지를 위해 24시간동안 1회만 발송합니다.
메일 용량 부족시 재알림 기준 % 이하로 줄어든 경우.   ☞ 기본 85%
☞ '메일 용량 부족 안내 메일'이 하루에 한번씩 재발송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건입니다.
사용자가 메일을 삭제하여 용량이 85% 이하로 줄어들기 전까지 '메일 용량 부족 안내 메일'이 재발송되지 않습니다.
메일 용량 부족 안내 메일 제목 :
본문 : nmail/skin/webmail/bootstrap/quota_alert_lack_mail.html   (서버에서 스킨 파일을 열어 수정)
☞ 메일 용량이 90% 이상 사용했을 때, 자동 발송되는 안내 메일의 '제목'과 '본문'입니다.
메일 용량 초과 안내 메일 제목 :
본문 : nmail/skin/webmail/bootstrap/quota_alert_over_mail.html   (서버에서 스킨 파일을 열어 수정)
☞ 메일 용량이 초과되었을 때, 자동 발송되는 안내 메일의 '제목'과 '본문'입니다.
자동 알림 시기 안내 메일 용량 부족, 초과시 자동 발송되는 알림 메일은 서버 부하를 고려해 실시간으로 용량을 확인하여 발송하지 않습니다.
서버에서 1시간(혹은 1일) 마다 반복 실행되는 디비 동기화 스크립트( mail_box_dbsync.php )가 실행될 때만 발송됩니다.
따라서 메일 용량이 초과되었는데 자동 알림 메일이 발송되지 않는다면, 디비 동기화 스크립트가 제대로 실행되는지 서버에서 테스트해보시면 됩니다.
FAQ - 디비 동기화 스크립트( mail_box_dbsync.php ) 안내
수정 취소